본문 바로가기

아무도 몰랐던 평생교육이용권의 진실! 제대로 활용하는 법

albaplus 2025. 6. 30.
반응형

"어느 날 엄마가 물어보셨습니다.
‘나도 바리스타 자격증 같은 거 따볼 수 있어?’
그리고 그 말 한마디에 저는 ‘평생교육이용권’을 검색하게 되었죠."

사실, 우리 주변엔 배우고 싶어도 "나이가 많아서", "돈이 없어서", "시간이 없어서"라는 이유로 배움을 포기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. 그런데 ‘평생교육이용권’ 하나면, 생각보다 쉽게 그 꿈을 시작할 수 있다는 사실… 알고 계셨나요?


평생교육이용권이란? 이름이 어려워도 내용은 정말 쉽습니다

먼저 이름부터 낯설게 느껴지실 수 있어요. ‘평생교육이용권’이라고 하니 왠지 복잡하고 공무원들만 아는 용어 같죠?
쉽게 말해 "국가가 학습비를 지원해주는 바우처"입니다.
그리고 이걸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생각보다 꽤 넓습니다.
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
  • 한부모가정, 장애인, 노인
  • 디지털이 서툰 누구나! (디지털 역량형)

즉, ‘경제적인 이유’로 배움을 미뤄온 분들이라면 대부분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거죠.


얼마를 지원받을 수 있나요? 최대 70만 원까지!

'얼마나 지원해 주겠어?' 싶었는데, 최대 70만 원까지 교육비를 지원해 줍니다.

유형 지원금액 특징
일반형 연 35만 원 온라인/오프라인 강의 모두 가능
장애인형 최대 40만 원 점자·재활 등 특화 교육 포함
노인형 연 30만 원 건강, 스마트폰 활용 교육 등
디지털 역량형 최대 9만 원 디지털 기초 수업(월 3만 원 × 3개월)
 

이용권은 카드 형태로 발급되며,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결제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. 요즘은 모바일 카드도 가능해서 편리합니다!


어떤 교육을 받을 수 있나요? 실생활에 필요한 강의부터 자격증까지

‘교육비 지원’이라는 말이 조금 딱딱하게 들릴 수 있지만, 실제로 배울 수 있는 내용은 정말 다양합니다.

  • 바리스타, 제과제빵, 미용 등 자격증 과정
  • 컴퓨터 활용능력 1급/2급 같은 실무 강의
  • 성인을 위한 문해교육 (글을 다시 배우고 싶은 분들)
  • 문화예술 클래스 (노래, 수채화, 사진 등)
  • 디지털 기초교육 (스마트폰 사용법, 키오스크 사용법 등)

혹시라도 “나이 많아서 안 되겠지…”라고 생각하신다면 절대 아니에요.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전용 이용권도 따로 있습니다.


신청 방법도 아주 간단합니다 (2025년 기준)

🗓️ 2차 모집 기간: 2025년 6월 26일 ~ 7월 19일
📢 결과 발표: 8월 중순 예정

온라인 신청 방법

  1. lllcard.kr 접속
  2. 회원가입 및 로그인
  3. 지원 유형 선택
  4. 신청서 작성 + 증빙서류 업로드
  5. 본인 인증 (휴대폰 or 공동인증서)

오프라인 신청도 가능해요!

  • 주민센터, 도서관, 평생학습관 등에서 직접 신청 가능

특히 디지털이 어려운 분들에겐 오프라인 신청이 훨씬 편할 수 있습니다.


마무리하며 – 배움에는 늦은 때가 없습니다

혹시 오늘도 ‘내가 배워서 뭐해’라는 생각 하셨나요?
하지만 누군가에겐 자격증 하나가, 스마트폰 하나 제대로 쓰는 것이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.
‘평생교육이용권’은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, 그런 시작을 도와주는 따뜻한 기회입니다.

이번 2차 신청 기간이 지나기 전에, 주변 분들께도 꼭 알려주세요.
그리고 스스로에게도 이렇게 말해보세요.
“나는 아직, 배울 수 있다.”

반응형

댓글